-
앞으로 전문가가 되기 위해 9년간(~36살) (~10년차) 개발자로 업무를 진행하며 사업을 위한 준비 진행
- 관심사에 대한 자료조사 및 연구 논문 작성
- 개발에 대한 전문가로 활동하기
- 컴퓨터 공학 지식
- 백엔드
- 프론트엔드
- 인공지능
- 컴퓨터 비전
- 컴퓨터 그래픽스
- 목표를 위한 개발 언어와 기술 스택을 사용할 줄 알고 활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학습
- 꾸준한 개발 블로그 기록
- 연구한 내용들도 논문으로 투고
- 사업을 위한 학습
- 사업과 관련된 것은 수도없이 많으며 배워나가야하는 것도 정말 많다.
- 하루하루 사업을 위해 개발적인 것 뿐만이 아니라 사업을 운영을 위한 학습이 필요하다.
- 스타트업 문화
- 대기업 문화
-
적어도 개발자로 살아가며 전문가라고 느껴진 이후 (35살 이후) 회사를 다니며 그동안 해왔던 연구와 관련된 1인 기업을 운영해보기
- 실제로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하여 1년 내에 매출액 1억 이상을 목표
- 많은 시도와 빠른 실패를 거듭 반복하며 성공을 위해 개선하기
- 못해도 3개 이상의 제품을 출시해보기(반기에 1개는 나와야한다고 생각함)
- 가상 현실과 관련된 제품
- IoT와 관련된 제품
- 기후 변화와 관련된 제품
-
수많은 시도 후 매출이 5억 이상 나오는 경우 회사 퇴사 및 사업 확장
- 많은 업무를 위임
- 경영지원
- 영업
- 기획
- 디자인
- 개발
- QA
- 제품
- 고객대응
-
가상현실의 경우 국민의 74% 이상 경험할 수 있는 제품 만들기
국민 10명중 7명은 게임 한다
-
개인비서
- 기가지니, 시리,카플래이 구글 어시스턴트, 알렉사, 빅스비, Cortana, Duer와 경쟁할 수 있는 제품 만들기
- 시장 점유율 2% 이상, 누적 판매량 17만대 이상(인공지능 스피커 누적 판매량 2020년 3월 기준 861만대의 2%) 판매량이 점점 줄고 있지만 개인 비서 인간의 생활을 이롭게 하는 AI의 기능을 다른 형식으로 개발
[IT 발품러] 이통3사 AI 스피커, '누구 vs 기가지니 vs 클로바' 승자는?
-
기후 변화 대응하는 기관과 연계하여 제품 및 웹사이트 운영
- 기후변화대응 기술정책지원 전담기관
- 기후기술 국제협력 및 인력양성 정책지원 전담기관
- 과 협업 및 기술 개발 지원
Document Viewer